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정보/복지정보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반응형

장애정도 장애등급을 받으려면 정해진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기관과 전문의에게 장애진단으로 장애 판정을 받아야 합니다. 장애진단서 기준에서 장애진단기관, 전문의 기준과 장애등급 판정시기에 대해 알애에서 확인 하실수 있습니다.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서 기준입니다.

  • 장애를 진단하는 의료기관의 장애 유형별 소관 전문의는 장애인복지법령 및 「장애정도판정기준」 에 따라 장애진단시기 및 장애의 상태 등에 대하여 진료기록 및 객관적인 검사 등을 통하여 확인하고 장애를 진단하여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의 모든 항목을 성실히 기재하고 검사결과지 및 진료기록지 등 필요서류 제공에 협조하여야 한다. 읍.면.동장에게 우편으로 송부하되, 부득이 인편에 의한 경우 봉투의 봉함부분에 의료기관의 간인을 찍어 송부하여야 한다. -성명.주민등록번호기재후 투명 테이프로 처리하여야 한다.
  • 의료기관의 폐업 등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이전 진료기록을 확인할 수 없는 경우 신청인의 현재 상태가 전문적 판단에 의해 장애진단시기에 해당하는 이전의 치료력이 인정된다는 적합한 근거 및 구체적인 의견을 장애정도 심사용 진단서에 명시하고 장애 진단을 할 수 있다.

 

장애등급 판정기준 (장애정도) 신청방법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 지체, 시각, 청각, 언어, 지적, 안면장애는 장애상태가 고착되었음이 전문적 진단에 의해 인정되는 경우 이전 진료 기록 등을 확인하지 않을 수 있다(예: 지체절단,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성 지적장애 등).
  • 장애정도를 판정할 때에 향후 장애상태가 변화할 가능성이 있는 경우는 장애정도의 변화가 예측되는 시기를 지정하여 장애정도를 재판정 하도록 한다.
  • <보행상 장애 판정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당연히 보행상 장애를 인정하되, 그 외의 장애유형 및 정도에 대하여 보행상 장애가 있다고 진단하는 경우 그 사유를 구체적으로 명시하여야 한다.

장애인 차량 구입시 혜택,구입조건(등급별)

 

장애진단기관 전문의

 

 

장애유형별 장애진단 기관과 전문의 정보 입니다.

  • 지체장애
    • 절단장애 : X-선 촬영시설이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
    • 기타 지체장애 : X-선 촬영시설 등 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정형외과․신경외과․신경과․소아청소년과
      (신경분과) 또는 내과(류마티스분과) 전문의, 마취통증의학과(CRPS상병인 경우) 전문의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 뇌병변장애 :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신경외과 또는 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 청각장애 : 방음부스가 있는 청력검사실, 청력검사장비가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 시각장애 : 시력 또는 시야결손정도, 겹보임(복시) 정도의 측정이 가능한 의료기관의 안과 전문의
  • 지적장애 :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신경과․재활의학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 언어장애 
    • 의료기관의 재활의학과 전문의 또는 언어재활사가 배치되어 있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정신건강의학과 또는
      신경과․소아청소년과(신경분과) 전문의
    • 음성장애는 언어치료사가 없는 의료기관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포함
    • 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장애인복지혜택(장애인복지카드 등)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 자폐성장애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 정신장애 
    •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다만, 지속적으로 진료를 받았다 함은 3개월 이상 약물치료가 중단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장애진단 직전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진료한 의료기관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또는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정신건강의학과 진료기록을 진단서 또는
      소견서 등으로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 신장장애
    • 투석에 대한 장애판정은 장애인 등록 직전 3개월 이상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 기관의 의사
    • 1호에 해당하는 의사가 없을 경우 장애진단 직전 1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투석치료를 하고 있는 의료기관의 의사가
    • 진단할 수 있으나 3개월 이상의 투석기록을 확인하여야 한다.
    •  
      신장이식의 장애판정은 신장이식을 시술하였거나 이식환자를 진료하는 의료기관의 외과 또는 내과전문의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

  • 심장장애
    •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
    • 1호에 해당하는 전문의가 없는 경우 의료기관의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 전문의가 진단할 수 있으나 장애진단 직전 1년 이상 내과(순환기분과)․소아청소년과 또는 흉부외과의 지속적인 진료기록 등을
      확인하고 장애진단을 하여야 한다.
  • 간장애 :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소화기분과)․외과 또는 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호흡기장애 : 장애진단 직전 2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내과(호흡기분과, 알레르기분과)․흉부외과․소아청소년과․결핵과 또는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 안면장애
    • 의료기관의 성형외과․피부과 또는 외과(화상의 경우) 전문의
    • 의료기관의 치과(구강악안면외과)․치과 전속지도 전문의(구강악안면외과)
  • 뇌전증장애 : 장애진단 직전 6개월 이상 진료한 의료기관의 신경과․신경외과․정신건강의학과․소아청소년과 전문의 
  • 장루 요루장애 : 의료기관의 외과․산부인과․비뇨기과 또는 내과 전문의

시청각 장애인 TV무료보급 지원(방송수신기) 혜택 신청하세요!

 

장애유형별 장애 판정시기

 

 

  • 지체·시각·청각·언어·지적·안면 장애 : 장애의 원인 질환 등에 관하여 충분히 치료하여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 진단하며, 그 기준 시기는 원인 질환 또는 부상 등의 발생 후 또는 수술 후 규정기간(6개월 또는 2년)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로 한다.(지체절단, 척추고정술, 안구적출, 청력기관의 결손, 후두전적출술, 선천적 지적장애 등 장애상태의 고착이 명백한 경우는 예외로 한다).
  • 뇌병변장애
    • 뇌성마비, 뇌졸중, 뇌손상 등과 기타 뇌병변(파킨슨병 제외)이 있는 경우는 발병 또는 외상 후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치료한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 파킨슨병은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장애 진단을 하여야 한다.

장애정도 판정기준 1.지체 장애인

  • 정신 장애 : 규정기간(1년 또는 2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을 때에 한다.
  • 심장 장애 : 1년 이상의 성실하고, 지속적인 치료 후에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되었거나 심장을 이식받은 사람
  • 자폐성 장애 : 전반성발달장애(자폐증)가 확실해진 시점
  • 신장 장애 : 3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혈액투석 또는 복막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사람 또는 신장을 이식받은 사람
  • 뇌전증 장애 
    • 성인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관련하여 최초 진단 이후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 소아청소년의 경우 뇌전증 증상에 따라 최초 진단 이후 규정기간(1년 내지 2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받음에도
      불구하고 호전의 기미가 거의 없을 정도로 장애가 고착된 시점.
  • 장루·요루장애 : 복원수술이 불가능한 장루(복회음절제술후 에스결장루, 전대장절제술후 시행한 말단형 회장루 등)․요루(요관피부루, 회장도관 등)의 경우에는 장루(요루)조성술 이후 진단이 가능하며, 그 외 복원수술이 가능한 장루(요루)의 경우에는 장루(요루) 조성술 후 1년이 지난 시점

 

이상으로 장애진단서 기준 (장애진단기관 전문의,장애등급 판정시기)에 관해 알아보았습니다.

장애정도 판정기준 2.시각,청각,언어 장애인

 

장애정도 판정기준 2.시각,청각,언어 장애인

장애인으로 등록하려면 각 신체별 기준에 맞는 장애정도 판정기준에 해당되는지에 따라 중증장애인, 경증장애인 등으로 분류됩니다. 각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

kimjeje.tistory.com

장애정도 판정기준 3.안면,신장,심장,간 질환 장애인

 

장애정도 판정기준 3.안면,신장,심장,간 질환 장애인

장애인 등록을 하려면 신체별 장애정도 판정기준에 맞아야합니다. 장애정도 판정기준은 장애정도가 심한 장애인인 '중증장애인'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장애인'으로 분류 됩

kimjeje.tistory.com

장애정도 판정기준 4.뇌병변,호흡기,장루 요루

 

장애정도 판정기준 4.뇌병변,호흡기,장루 요루

장애정도 판정기준은 각 지체 부위 별에 따라 측정기준이 다릅니다. 이 측정 기준에 따라 장애의 정도가 심한 장애인(중증장애인)과 장애의 정도가 심하지 않은 장애인(경증장애인)으로 구분 됩

kimjeje.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