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정보9 분양예정아파트(청약 계획 정보) 확인하기 2022년에 아파트 청약 당첨을 목표로 하시는 분들이 많으실텐데요.3기 신도시 사전청약과 더불어 주변에 분양계획 예정이 있는 아파트들 정보를 미리 확인한후 주변지역등 여러 정보를 확인해보는게 좋습니다. 특히나 2022년에는 전국에서 41만여가구의 민간아파트가 공급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2023년 아파트 분양 계획 일정 확인(청약 입주 정보) 2022년 분양 예정아파트 확인하기 전국 지역별 분양계획 일정을 쉽게 볼수 있는곳은 부동산114홈페이지(r114.com)입니다. 분양계획은 각지자체의 승인일정에따라 조금씩 달라질수 있습니다. [부동산114] 부동산114홈페이지에서는 아파트 뿐만아니라 오피스텔,빌라,공공임대주택,종부세,재산세등 각종 부동산 계산기도 확인해볼수 있습니다. 지역별 분양일정도 확인이 가능해 .. 2022. 1. 14. 무주택기간 확인방법 기준 알아보기 아파트 청약에 관심이 많으신분들이라면 분양 가점에 대해 많이 알아보실텐데요. 가점은 1점으로 인해 떨어질수도 있어서 나의 분양가점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신분들도 많으실거 같습니다. 주택 청약 가점표 가점항목 가점구분 점수 가점구분 점수 ①무주택기간(32점) 30세 미만 미혼무주택자 0 8년 이상 ~ 9년 미만 18 1년 미만(무주택자에한함) 2 9년 이상 ~ 10년 미만 20 1년 이상 ~ 2년 미만 4 10년 이상 ~ 11년 미만 22 2년 이상 ~ 3년 미만 6 11년 이상 ~ 12년 미만 24 3년 이상 ~ 4년 미만 8 12년 이상 ~ 13년 미만 26 4년 이상 ~ 5년 미만 10 13년 이상 ~ 14년 미만 28 5년 이상 ~ 6년 미만 12 14년 이상 ~ 15년 미만 30 6년 이상 ~ 7년.. 2021. 12. 9. 등기권리증 재발급, 확인서면으로 발급해야합니다.(등기필증) 흔히 집문서라고 불리는 등기권리증은 등기필증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등기권리증 발급받는 방법과 등기권리증을 분실했을때 재발급을 받을수 있는 지 등에 대해 정리해보았습니다. 등기권리증이란? 등기권리증이란 등기소에서 발급해주는 서류로 집이나 건물을 매매할때 등기소에서 소유주에게 주는 집문서입니다. 이는 건물 등기에 대하여 권리가 있는것을 증명하는 서류로 등기완료증명서,등기필증이라고도 합니다. 이 등기권리증을 소유하고 있으면 권리자라는 추정은 받아지게 되지만 법률상으로는 하나의 증명서로만 보여 진실한 권리자에게 대항할 권리는 없긴합니다. 등기부등본과 등기권리증은 다른건가요? 흔히 아는 등기부등본과 등기권리증은 엄연히 차이가 나는 용어 입니다. 등기부등본은 부동산에 대한 소유권과 권리관계등이 .. 2021. 7. 30. 2021년 개별공시지가 조회 (표준지공시지가 차이?) 매년 1월 1일 기준으로 표준지공시지가가 발표됩니다. 가끔 국토교통부에서 표준지공시지가,개별공시지가, 아파트 공시지가등을 발표하는데요. 잘 모르는 사람들은 매년 비슷비슷한 말이 발표되어 뉴스를 장식하는데 이게 뭘까? 하고 생각하기도 합니다. 2023년 개별공시지가 조회(아파트,표준지공시가격과 차이점?)바로가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표준지공시지가와 개별공시지가 차이를 알아보고, 2021년 표준지,개별공시지가 발표 일정이 어떻게 되는지 정리해 보았습니다. 표준지 공시지가 표준지공시지가란 말은 부동산가격 공시 ,감정평가에 관한 법률에 의거 국토교통부 장관이 매년 공시일 기준인 1월1일 기준으로 표준지 가격을 조사해 평가하며 심의를 거쳐 공시하는 적정가격을 말합니다. 이때 표준지 공시지가 조사는 모든토지를 조사하는.. 2020. 12. 24.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부일 / 조회 /부과 기준/계산기 총정리 종합부동산세,종부세 납부시기가 다가왔습니다. 집값상승으로 인해 공시지가 가격까지 상승하여 종부세 납부 대상자가 많아져 이슈가 되었습니다. 2023년 종합부동산세 계산기,세율,계산방법 7단계(국세청 종부세) 이번 포스팅에서는 종합부동산세 납부일과 부과기준, 계산방법등에 대해 정리 해보았습니다. 종합부동산세(종부세)란? 종합부동산세란 과세기준일인 매년 6월 1일 현재 국내의 재산세 과세 대상인 주택,토지를 유형별로 구분하여 인별로 합산한 결과를 공시가격 합계액이 각 유형별로 공제금액을 초과하는경우에 초과분에 대하여 과세되는 세금으로 국세중 하나입니다. 주택,토지 보유자에 대해 1차적으로 부동산 소재지 관힐 시,군,구에서 재산세를 부과하며, 2차적으로 전국에 소재한 각 유형별 과세대상 재산을 인별 합산한 가액.. 2020. 11. 26.